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메뉴
HOME
TV
RADIO
신문
뉴스
가톨릭
VOD
콘텐츠제작부
선교후원
온에어
TV
RADIO
편성표
TV
RADIO
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충전소
검색
제 1542 호 2019년 12월 08일 대림 제2주일, 인권주일, 사회교리 주간
가톨릭평화신문페이스북
PDF
신문검색
신문검색폼
온라인뉴스
교구종합
공동체본당
세계교회
여론사람들
기획특집
가정청소년
사목영성
문화출판
사회사목
구독신청
니~하오! 중국교회
일반기사
연재기사
[니하오! 중국교회] <끝> 21세기 복음화 무대는 중국이다
중국은 국내 정치상황에 따라 종교정책을 조금씩 수정해왔다. 그러나 1949년 공산당 집권 이후 오늘날까지 한치 양보없이 고수하고 있는 기본 정책이 종교를 정부 통제 아래 두는 것이다. 헌법에 명시된 종교의 '자유'는 여하한 일이 있어도 ...
[니하오! 중국교회] 암흑의 터널에서 빠져나온 중국교회
문화혁명(1966~76년)으로 철의 장막에 갇혔던 중국교회가 다시 빛을 본 것은 1978년 등소평 등장 이후다. 개혁개방 정책을 들고 나온 등소평은...
[니하오 중국교회] 광풍에 쓰러지는 교회
사람들은 중국에 '애국교회'와 '지하교회'라는 2개의 가톨릭교회가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중국 가톨릭은 하나다. 만일 두 ...
[니하오 중국교회] 애국회, 불가피한 역사적 산물인가?
그리스도교에 대한 중국 공산당 입장은 단호했다. 종교의 자유는 허용하되 종교에 대한 외세 간섭은 철저히 배격한다는 것이다. 외국 간섭이나 도움없이 ...
[니하오 중국교회] 삼자운동(三自運動), 자립인가 비극인가?
중국 공산주의자들이 종교를 손아귀에 넣기 위해 들고 나온 게 삼자애국운동(三自愛國運動)이다. 이 삼자운동은 오늘날의 중국교회를 이해하는데 없어서는 ...
[니하오 중국교회] 공산당의 손아귀에 들어간 천주교
국민당과 공산당간의 오랜 내전은 마침내 1949년 공산당의 홍군(紅軍) 승리로 막을 내렸다. 장개석이 이끄는 국민당 정부는 미국의 보호 아래 황급히...
"나는 120% 중국인" 뱅상 레브 신부를 아십니까?
중일전쟁 때 일본군이 현상금 3만 불을 걸고 체포하려 했던 중국인의 영웅, "교회는 왜 이 잘못을 모르는가?"라고 통탄하며 중국교회 토착화를 주도한 개혁가, 자신은 120% 중국인이라고 자부한 선교사…. 중국 선교사 뱅상 레브(Vincent Lebbe, 1877~1940) 신부를 소개하려면 책 한 권도 부족...
[니하오! 중국교회] 박해의 긴 터널을 빠져나온 천주교
중국 천주교회사에서 의화단의 난(1899~1901년)은 참으로 끔찍한 사건이다. 부청멸양(扶淸滅洋)을 외치며 무장 봉기한 의화단은 전국 성당들을 불...
19세기 후반 반(反) 그리스도교 운동 왜 일어났나(下)
제2차 아편전쟁(1856~1860년)이 끝나자 중국 선교의 문이 활짝 열렸다. 천진조약으로 천주교 금지령이 해제되고, 선교사들은 5개 통상 항구 외에 내륙 선교권까지 얻어냈다. ...
19세기 후반 반(反) 그리스도교 운동 왜 일어났나?(上)
중국 선교역사는 수난과 박해로 점철돼 있다. 특히 19세기 후반에 전국 각지에서 반(反)그리스도교 운동이 일어나 수많은 선교사들이 죽임을 당하고,...
[니하오 중국교회](4) 청조(淸朝)는 왜 천주교 금교령을 내렸나?
"서양 선교사들은 6개월 이내에 마카오로 떠나라. 그리고 천주교를 믿는 자들은 반드시 신앙을 버려라. 이를 어길 경우 형벌로 다스리겠노라." 강희제에 이어 청나라...
[니하오! 중국교회](3) 조상제사는 孝인가, 미신인가?
16세기 말 베이징의 예수회 선교사들은 깊은 고민에 빠졌다. 우주만물의 주재자, 그리스도교의 신(神, 라틴어 Deus)을 중국어로 어떻게 불러야 하...
[니~하오! 중국교회](2) 마태오 리치는 성직자인가,과학자인가?
궁중학자로 일하며 선교기반 닦아
명나라에 서양 과학문물을 전한 마태오 리치(Ricci Matteo, 1552~1610)를 과학자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1601년 북경에 도착한 마태오 리치는 '중국교회 창설자'라고 불리는 예수회 신부다. 그럼 동양 선교의 큰 뜻을 품고 중국에 온 이탈리아 출신의 이 선교사는 왜 유학자 옷을 입고 생활하며 황실에 서양 문물을 전했을까...
[니~하오! 중국교회](1) 중국인들은 언제 그리스도를 만났나?
한국 가톨릭과 중국 가톨릭은 "뿌리가 닿아있다"고 할 정도로 관계가 밀접하다. 우리는 18세기 후반 중국교회를 통해 복음을 받아들...
기사 더 보기
발행일자조회
전체
많이 본 기사
01
조부모의 신앙과 지혜, 갈등없이 전할 수 없을까
02
cpbc 프로그램, 더 알차게! 더 다양하게!
03
[사제인사] 대구대교구, 11월 29일 부임
04
[사제인사] 서울대교구, 11월 25일 자
05
규제 없는 자본주의에 맞서 ‘인간의 가치’ 지켜라
06
교황, 전쟁 피폭국 일본에 비핵화·평화 메시지 전하...
07
[부음] 103위 성인화 그린 문학진 화백 선종
08
서울대교구 청소년국 유아부 율동·애니메이션 플래시 ...
09
[이창훈 소장의 사도행전 이야기] (41) 안티오키...
10
일본의 신앙 씨앗 찾아간 한국 주교들… 복음 전하고...
알립니다
[알림] 제7회 가톨릭평화방송·평화신문 신앙 체험 ...
[알림] 제6회 신앙체험수기 수상작 선정
[알림] 제6회 가톨릭평화방송·평화신문 신앙 체험 ...
[알림] ‘내 기억 속의 김수환 추기경’ 수상자 선...
오늘의 소사
2014
인천교구 가정동본당 새 성전 축복식
2006
수원교구 한마음한몸운동본부 창립
2000
서울 송파경찰서 경신실 축복식
1999
광주평화방송 여수중계소 개국
1997
부산교구 밀양본당 새 성전 축복식
1983
수원가톨릭대학교 설립
1977
서울대교구 잠실본당 신설
1976
전주교구 상관본당 신설
1958
안동교구 문경본당 신설
1943
마리아 사업회(포콜라레 운동) 설립